구분 |
모집분야 |
직무내용 |
지원자격 |
채용
인원 |
채용부서
(연구책임자)
|
1 |
암생물학/분자세포
생물학 |
- 메틸화 저해 발암대사물 탐색에 기반한 암세포의
DNA 저메틸화 조절 전략
- Screening for methylation interfering
tryptophan-derived oncometabolites (MObolites)
- Identify interacting tryptophan-derived metabolites
targeting the DNMT regulatory or catalytic domains
- test if those inhibit the activity of the methylation
process and translate towards epigenetic
phenotypes,
- classify the metabolites and develop a strategy to
sequester them as therapeutic intervention |
암생물학, 분자생물학,
세포생물학 및
관련분야 전공자 |
1명 |
암의생명과학과
(Lindroth Anders
Mikeal) |
2 |
분자세포생물학/
암생물학 |
- 세포 주기 조절 인자 중 발암 관련 유전자 동정
- 동정 유전자들의 발암 기전 연구, -in vitro, 유전자
조작 서류 모델을 이용한 in vivo 기전 분석을 위한
암 생물학, 분자 세포 생물학적 탐색
- 암줄기세포 특성 파악 및 제어 기전 연구
- 암 대사 조절 연구
(단백질 분해, quality control 기전 포함)
- 암 면역기전 연구
(혈액암 발생기전, 항암 면역 치료제 작용 조절 연구 포함) |
암생물학, 분자생물학,
세포생물학 및
면역학 관련분야 전공자 |
1 |
암생물학연구부
(김경태) |
3 |
암생물정보학/
생물정보학 |
- 방광암 맞춤의학 실현을 위한 치료예측 또는 예후 바이
오마커 발굴 및 항암/방사선 치료 저항성 극복 또는 신약
타겟 발굴 목적의 단백유전체 데이터 (proteogenomics:
proteomics, next generation sequencing (WES, WTS,
Targeted Panel Seq, Single Cell Seq, microbiome Seq 등)
분석 전반 관련
-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 연구 진행
- 단백유전체 분석 데이터 통합 및 관리-분석 파이프라인 구축
§ Machine learning/AI 알고리즘 모델 개발 |
생물정보학 및
관련분야 전공자 |
1명 |
종양면역 연구과
(서호경) |
4 |
암역학/암생물학 |
- multi-omics 분석에 의한 암화기전 연구 :metagenomics,
metabolomics
- 암역학 연구 (통계분석 가능자) |
- |
1명 |
암역학연구과
(김미경) |
5 |
컴퓨터과학/
데이터사이언스 |
-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기반 인공지능 학습용
암 공공 라이브러리 합성 데이터 생성 및 개방 연구
- Machine learning method 기반 암 관련 부정적 이벤트
인자 탐색·추출·생성 및 예측 연구
- 암 영상 합성 이미지 데이터 생성 및 병변 탐지 인공
지능 모델 개발 연구 |
컴퓨터과학,
데이터사이언스,
인공지능,
데이터마이닝 및
관련분야 전공자 |
1명 |
암빅데이터센터
(류광선) |
6 |
bioinformatics
Genomics,
Systems biology |
- Mutiomics (WGS, RNAseq, proteomic) 데이터 기반 암세포의
성장 속도 예측 연구
- 폐암 환자의 임상 데이터 및 시료 분석을 통한 새로운
oncogenic fusion 발굴
- cancer metabolism pathway 와 oncoimmunology를 기반으로
한 폐암 분류법 발굴 |
암유전체 분석 및
TCGA 데이터 분석
경험 |
1명 |
표적치료연구과
(이영주) |
7 |
역학/보건학/
데이터과학/
인공지능과학 |
- 만성질환 발생과 사망의 원인 규명을 위한 데이터 분석
- 인공지능 기반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|
역학, 보건학,
데이터과학,
인공지능과학 전공자 |
1명 |
암AI디지털
헬스학과/
암역학연구과/
암빅데이터
인공지능
연구과(김정선) |
8 |
약학/역학/
경제성 평가 |
- 항암제 및 암진단 의료기기의 비용-효과분석 연구
- 비용-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경제성평가 모형 구축
- 암환자에서의 의료 이용 및 비용 연구
- Big data 분석을 통한 Real-world evidence 생성 |
약학, 역학,경제성평가 및
관련분야 전공자 |
1명 |
임상연구부,
암진료향상연구과
(강석범) |
9 |
암생물학/분자세포
생물학 |
- RNA결합-수식단백질과 종양마이크로 RNA에 의한 암화
기전 연구
- 간암을 유발 HCV의 복제와 종양마 이크로RNA,
RNA
결합-수직단백질간의 상호작용 연구
- 종양마이크로RNA 생성 및 종양RNA 결합-수직단백질의 기능
조절 소분 자 저해제의 대규모 탐색
- 암줄기세포에서 RNA결합-수식단백 질과 종양RNA 간의
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되는 stemness 및 암화기전 연구 |
암생물학,분자생물학,
세포생물학 및 관련분야
전공자 |
1명 |
희귀·소아암연구과
(박종배) |
10 |
보건학/보건정책
관리 |
- 암예방 정책 근거 마련 연구
- 빅데이터를 활용한 암예방 고위험군 발굴 연구
- 암 부담과 건강격차 평가 연구
- 정책연구 기획, 설계, 통계적 분석 설계와 수행, 정책 근거 마련 |
보건학, 보건의료
정책관리, 만성병역학 및
관련분야 전공자 |
1명 |
암관리학과
(오진경) |
11 |
암검진 |
- 국가암검진 사업 운영 및 제도 개선
- 국가암검진사업 효과-평가
- 암검진 질관리
- 검진체계 고도화 |
보건학, 통계학 및
관련 분야 전공자 |
1명 |
암검진사업부
(서민아) |
12 |
초음파
신호처리/영상처리 |
- 초음파 신호 및 영상처리
- 초음파 Field II 시뮬레이션
- 초음파 전단파 기반 티슈 탄성도 측정기술 개발 |
전자공학, 의공학, 및
관련분야 전공자 |
1명 |
융합진단치료기술
연구과(박대우) |
13 |
생체재료 및
나노의약품 |
- 나노의약품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치료제, 면역치료제 개발
- 나노의약품 개발
- 근적외선 형광염료 또는 광감각제 합성 또는 이를 이용한
결합체 합성
- 펩타이드 결합체 합성 |
유기화학,
고분자화학,
펩타이드화학, 또는
생체재료 관련분야
전공자 |
1명 |
융합기술연구부
(최용두) |
14 |
동물실험
효능평가 |
- 세포실험 (flow cytometry, ICC cell viability 등)
- 암 동물모델에서 항암제 동물실험 효능평가 (면역 조직염색,
항암제 효능평가, 혈액 및 장기 적출)
- 면역항암제의 동물실험 효능평가 |
암 생물학포함
동물실험 전공자 |
1명 |
융합기술연구부
(최용두) |
15 |
환경역학/
환경통계학/
공간지리학 |
- 장기간 노출된 대기오염이 암을 포함한 질병의 발생과
사망에 미치는 영향 연구
- 코호트 자료를 이용해서 질병발생에 미치는 위험을 추정하는
생존분석 모형 적용 (새스와 알 이용) 및 결과 탐색과 해석
- 건강보험 및 국립암센터 코호트 자료를 이용한 건강자료 분석
- 장기간 대기오염 노출의 건강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통계적인
모형 개발 또는
- 공간지리 특성이 암발생과 암사망에 미치는 영향 연구
- 다양한 자료원의 공간지리자료 획득, 자료가공,
데이터베이스 구축, 쿼리, 변수계산을 포함하는 파이프라인
구축 (쥐아이에스와 알/파이썬 이용) 및 매뉴얼 작성 작업 관리
- 공간지리 특성이 건강에 미치는 공간분석모형 적용,
결과 탐색 및 해석 |
보건통계, 통계, 역학,
환경보건, 지리학
및 관련분야 전공자 |
1명 |
국제암대학원
대학교
암AI디지털헬스
학과
(김선영) |
16 |
구조생물학 |
- 항암제 표적단백질의 발현, 정제 항암제 표적단백질의 결정화
및 삼차원 구조 규명 연구
- 표적단백질의 약물 후보물질 고성능스크리닝
- 약물 후보물질의 효능 검증
- 약물-단백질 복합체의 구조 규명 및 약물 결합 모드 분석 연구
- 약물의 항암 작용기전 연구 |
구조생물학,
분자생물학, 생화학
및 관련분야 전공자 |
1명 |
표적치료연구과
(김현숙) |
17 |
암생물학/
분자세포생물학/
생화학 |
- 암전이 동물 모델에서 암전이 조절 분자 규명 및 기전 연구
- 순환종양세포(circulating tumor cell)의 암전이 분자적
특성 분석
- 암미세환경 조절에 의한 암전이 특성 변화
- 희귀암의 원인 분자 규명 및 작용 기전연구
- 암줄기세포 특성과 항암제 저항성 연구 |
암생물학, 분자생물학,
세포생물학
생화학 전공자 |
1명 |
암생물학연구부/
암전이연구과
(김용연) |
18 |
암생물학/분자세포
생물학 |
- 특정 암 발달과정에서 autophagy/mitophagy
(자가포식/미토파지) 분자 조절기전 연구
- 암 대사 변형 (reprogramming) 조절 기전 연구
- 특정 자발적 암 마우스 기반 autophagy gene
transgenic 유전자 형질변형 마우스 구축 및 in vivo 실험 |
암 생물학, 분자생물학,
세포생물학 및
마우스유전학 전공자 |
1명 |
암분자생물학
연구부
(정희선) |
19 |
암생물학/
분자세포생물학/
생화학 |
- 암세포의 유전체 불안정성 (genomic instability) 원인 규명을
통한 새로운 암진단/치료 바이오마커 동정
- DNA 손상반응 및 복구 (DNA damage response and
repair)과정의 분자생물학적 접근
- PARP저해제 내성 기전과 BRCAness에서 극복 방안 연구 |
분자생물학, 세포생물학,
생화학 및 관련분야
전공자 |
1명 |
암생물학연구부/
암발생연구과
(이경용) |
20 |
인공지능/데이터
과학 |
- 유전체 발현량 기반 암 환자 생존위험예측을 위한
인공지능 개발
- 생존위험에 따른 종양적 특징을 군집화하는 인공지능 개발
- 암환자 예후와 생체신호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
인공지능 개발 |
수학과, 컴퓨터공학,
물리학, 데이터과학 및
유관전공 |
1명 |
국제암대학원
대학교,
암AI디지털
헬스학과
(김준태) |
21 |
암생물학/
분자세포생물학/
약학 |
- 미세환경 변화에 기인한 암전이 기전 연구
- 암미세환경 세포의 특성과 상호작용 연구
- 동물모델을 이용한 암전이 조절 검증 연구
- 약물 효능 검증 및 항암 기전 연구 |
암생물학, 분자생물학,
세포생물학, 약학
및 관련분야 전공자 |
1명 |
암전이연구과
(윤경실) |
22 |
암생물학/
분자세포 생물학 |
- 유전적 다형성과 종양 유전체 데이터에 기반한 다중오믹스
분석을 통해 발암 기전 및 전이 기전 연구
- 크로마틴 접근성 및 전사인자 발현에 따른 종양세포의
복제/침습/전이 연구
- 유전성 종양 질환의 원인 유전자의 장기 특이 발현성
및
결정 인자 연구
- 환자 유래 세포의 디지털 병리 정보 와 다중오믹스
정보에
대한 연계 연구 |
암생물학, 분자생물학,
세포생물학 및
관련분야 전공자 |
1명 |
이행성 연구부
(이은경) |
23 |
암생물학/분자세포
생물학 |
- 종양RNA (oncogenic RNA) - 암리보핵산 조절단백체
(Ribomodulome) 상호작용에 의한 암발생, 악성화, 약물저항성,
재발, 줄기세포성, 분화조절연구
- 종양마이크로RNA (oncomiR) 생성-가공-분해 핵심 리보핵산
조절자 (trimmer/ modulator) 동적
- 상호작용 제어를 통한 항암 표적화 연구
- 간세포암 (hepatocellular carcinoma) 유발 C형 간염바이러스
(hepatitis C virus) 증식 핵심분자 기구 발굴, 신호전달 연구,
항암-항바이러스 표적화 전략
- 뇌종양, 췌장암, 간세포암등 에서 리보핵산/조절자 상호작용을
통한 암의 전사후 조절, 암분화 유도, autophagy 조절 연구를
통한 신규 항암전략 연구 |
암생물학, 분자생물학,
세포생물학 및
관련분야 전공자 |
1명 |
암분자생물학
연구과
(김종헌) |
24 |
생물정보학 |
- 종양의 genomics, proteomics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
종양의 항암제 내성 기작, 종양면역환경, 신규항암제 타깃
발굴 등의 연구 |
생물정보학 연구자
/빅데이터 연구자 |
1명 |
희귀난치암연구부
치료내성 연구과
(한지연) |